‘진경성(眞景性)’의 궤적 – 이수창교수의 회화

Traces of “True Scenery” : Paintings made by Professor LEE Su Chang

그가 즐겨 그린 대상은 주지하다시피 안동 주변의 경관으로, 하나같이 옛 문인들의 발자취가 배어 있는 것들이다. 단순한 풍경, 산수를 그리고자 했다면, 실용적인 목적의 지리도경(地理圖經)같이 산천형세를 자세히 묘사하는데 역점을 두었을 것이지만, 그에게 풍경은 동양화의 문인산수와 같은 것으로 와 닿았던 듯이 보인다. 한국 유학의 본산지로서 안동이 갖는 특성에 비추어, 그가 선비들이 즐겼던 문인화를 깊이 생각하지 않았으리라는 증거는 아무 것도 없으며, 이런 측면에서 그의 회화가 전통과의 연속성은 주목할만한 대목이다. 사실인즉 산수를 ‘군살없는’ 대상으로 묘사하거나 일체의 수식어를 배제한 채 절제된 언어로 표출시키는 독특한 표현법은 어느 면에서는 선비의 금욕적인 기풍을 연상시킨다. 성인이 신묘한 경지로서 도(道)를 규범화하고 현인은 그것을 세상에 통하도록 실행하였다면, 그가 산수를 구체적 형상으로 도를 아름답게 꾸미는 이상적 경지로 여겼을 어떤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LEE enjoyed painting the sceneries around Andong, all permeated with the footsteps of the ancient literary artists. If he wanted to draw a simple landscape, he would have focused on the shape of the mountains and streams, like the ancient, practical Korean topographical map “Jiridogyeong”. But, LEE saw the landscapes through the eyes of the literati who painted the oriental classics. Seeing how Andong is the origin of Korean Confucianism, it is likely that Lee held in mind the paintings of the classical Choseon scholars. This is why LEE’s paintings should be viewed as a continuation of tradition. The old literary artists’ style portrayed the scenery without excess or adornments of any kind, using unrestrained vocabulary reminiscent of the literati’s stoic lifestyle itself. If a holy man gave form to the Tao, and if it was up to the wise men to practice it on earth, then it fell to the artists to aesthetically enhance Tao through the physical form of nature.

그에게 자연을 그린다는 것은 껍데기로서의 자연을 묘사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연의 실체에 다가 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연의 정신을 배운다는 것을 가리킨다. 자연과 호흡을 나누며 그것이 지닌 생명을 전해줄 수 있다면, 그것을 가장 최상의 미덕이라 생각했을 수도 있다. 모순처럼 들리지만, 사실 서양화가 이수창 교수의 작품에는 서양화의 흔적을 그리 많이 간직하고 있지 않다. 공기 원근법, 거리 원근법이 지켜진다고는 하나, 그 포션은 미미하고 명암법에 있어서 광선효과가 잘 준수되어 있지 못 하다.

To LEE, painting nature is not just describing its empty husk, but to step closer to its reality. It is to learn the spirit of nature. Harmonizing with nature and conveying the life force contained within – this is what he would have considered the utmost virtue. Though it may sound like an oxymoron, the paintings of Professor LEE Su Chang, Western-style painter, do not contain much in the way of Western style. Though aerial and linear perspectives are kept, their portions are very slight, and rays are often not painting according to the laws of shading.

서양화의 기본 틀로서의 사실성마저도 정도(正道)를 벗어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왜 그랬을까 하는 물음이 즉각 제기된다. 그것은 서양화를 동양화의 수법으로 해소하고자 했고, 나아가 우리의 산천을 남의 눈을 빌려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의 눈으로 해석하고자 했던 데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우리의 생각은 거기에까지 이른다. 그렇다면 그에게 소중했던 것은 ‘사실의 진실성’이 아니라 ‘자연의 진실성’, 즉 ‘진경성(眞景性)’ 이 아니었을까? 하는 추론도 성립할 수 있다. 그의 그림에 기조를 이루는 요소들,즉 부분 보다는 전체 에 강조점을 찍거나 세기(細技)를 배척하는 것도 진경성의 추구라는 측면에서 보면 충분히 납득 할 수 있는 성질의 것 들이다.

Even the basic frame of the Western-style painting, realism, seems to be off-kilter. One might wonder why that is. Perhaps he tried to master the occidental painting with oriental techniques, hoping to interpret our own landscapes with our own perspectives, and not someone else’s. After arriving at that conclusion, it can be further deduced that what LEE valued was not “the truth of facts,” but “the truth of nature” – in other words, “True Scenery.” The factors which form the basis of his paintings – emphasizing the whole rather than details, while eschewing delicate lines – can all by understood from the pursuit of True Scenery.

(‘진경성(眞景性)’의 궤적 – 이수창교수의 회화, 1994년 이수창교수 퇴임기념 화집에서 발췌)

서 성 록

국립안동대학교 미술학과 교수, 한국현대미술, 미술평론가

Seo, Seongrok

Professor of Korean Contemporay Art,
Department of Fine Art, And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진경성’의 궤적 – 이수창 교수의 회화, 서성록, 1994 전문 보기

Traces of “True Scenery” : Paintings made by Professor LEE Su Chang by SEO Seong-Rok, 1994 VIEW TEXT

ANOTHER REVIEW

  • 이수창_자연을 형상화하는 넉넉한 여유 – 김복기, 월간미술 1991년 7월호 글 보기
  • 중은(中隱)의 삶을 실천했던 수채화가 이수창 – 소백, 2018년 6월 글 보기
  • 안동미술의 토대를 세운 이수창 – 소백, 2018년 6월 글 보기

EXHIBITION VIEW